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블랙먼데이 이후 시장은 어떻게 움직였나? ETF·환율·원자재까지 분석

by kimchi_pig - 김치피그 2025. 4. 8.
반응형

블랙먼데이 이후 시장은 어떻게 움직였나? ETF·환율·원자재까지 분석

 

2025 블랙먼데이(4월 7일) 이후, 국내외 시장은 어떻게 반응했을까요? ETF, 환율, 금·유가 등 자산별 변화를 분석해 투자 전략을 정리합니다.


🗂️ 목차

  1. 블랙먼데이 다음 날, 시장은 어떻게 반응했나
  2. 코스피 회복? 아니면 더 하락?
  3. ETF 투자자들의 반응: 인버스/레버리지
  4. 원·달러 환율과 외국인 자금 흐름
  5. 금, 은, 유가…안전자산은 어떻게 움직였나
  6. 결론: 지금은 공격인가 방어인가?

1. 블랙먼데이 다음 날, 시장은 어떻게 반응했나

2025년 4월 8일, 블랙먼데이 다음 날 아침. 투자자들은 ‘어제보다 더 무서운 하루가 올 수도 있다’는 불안 속에서 장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코스피는 0.7% 반등하며 장을 마감했고, 일부 투자자들은 **‘기술적 반등’**으로 해석하며 한숨 돌렸습니다.


2. 코스피 회복? 아니면 더 하락?

단기적 반등이 있었지만, 증권가는 여전히 조심스럽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발언이 단발적이 아니라 **대선 전략과 연결된 ‘계속될 리스크’**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일부 증권사 리포트에선 2,400선까지 추가 하락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습니다.


3. ETF 투자자들의 반응: 인버스/레버리지

개인 투자자들은 인버스 ETF(지수 하락 수익)와 레버리지 ETF(지수 상승 2배 수익)에 빠르게 몰렸습니다.

  • 블랙먼데이 직후엔 인버스 매수 급증,
  • 그 다음 날부터는 레버리지 재진입 시도가 포착되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단기 반등 후 추가 대응을 고민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4. 원·달러 환율과 외국인 자금 흐름

환율은 블랙먼데이 당일 1,390원을 넘겼고, 다음 날엔 1,398원까지 상승했습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빠르게 자금을 빼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특히 대형 수출주 중심의 외인 이탈이 눈에 띄며, 원화 약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


5. 금, 은, 유가…안전자산은 어떻게 움직였나

  • : 온스당 $2,100 돌파 (역대 최고 근접)
  • : 산업 수요 감소 우려로 혼조세
  • 국제 유가: 공급 우려보다 경기 둔화가 더 크게 반영되며 하락
    전반적으로 “위험자산 매도 + 안전자산 분산”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6. 결론: 지금은 공격인가 방어인가?

시장은 아직 ‘안정’이라고 말하기 이릅니다.

다만, 공포가 정점을 찍은 후엔 반드시 저가매수 기회도 오는 법입니다.

지금은 레버리지보단 분산·방어적인 ETF 중심의 투자 전략이 필요할 시점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 시기를 통해 우리가 반드시 배워야 할 개인 투자자의 교훈 5가지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함께 알면 좋은 정보

 

2025년 4월 7일, 왜 ‘블랙먼데이’였을까? 주식시장 폭락의 진짜 원인

2025년 4월 7일, 국내 증시가 5% 이상 폭락하며 '2025 블랙먼데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코스피 급락의 원인과 글로벌 금융시장의 충격을 정리해드립니다.🗂️ 목차‘2025 블랙먼데이’란 무엇인

kimchipig.tistory.com

 

2025 블랙먼데이, 이것만은 배워야 한다! 개인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5가지 교훈

2025년 4월 7일, 블랙먼데이급 주식시장 폭락은 투자자들에게 큰 교훈을 남겼습니다.위기 상황에서 반드시 기억해야 할 투자 원칙 5가지를 정리했습니다.🗂️ 목차다시 돌아보는 2025 블랙먼데이

kimchipi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