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만 되면 시장에 하나둘씩 나오기 시작하는 머위.
특유의 쌉쌀한 맛과 향긋한 향 덕분에 입맛이 없을 때 식욕을 되살려주는 제철 반찬이죠.
오늘은 머위의 향은 살리고 쓴맛은 줄이는 머위김치 담그는 법을 소개할게요.
처음 담가보는 분들도 부담 없이 따라 할 수 있도록 재료 준비부터 양념 배합, 보관 팁까지 꼼꼼하게 알려드릴게요!
🗓 머위의 제철은 언제?
제철 시기:
👉 3월부터 5월 초까지, 이른 봄이 가장 맛있을 때예요!
특징:
- 따뜻한 봄바람이 불기 시작할 무렵, 들이나 산기슭, 텃밭에서
- 두툼한 줄기와 넓은 잎을 가진 머위가 자라나요.
- 어린 머위는 향긋하고 연해서 나물, 김치, 장아찌로 많이 활용되고요,
- 잎과 줄기 모두 먹을 수 있어 버릴 게 없는 봄나물이에요.
🌿 머위의 효능
머위는 단순히 향긋한 나물일 뿐 아니라,
몸에 좋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들어 있는 건강식품이에요!
1. ✅ 감기 예방 & 항염 효과
- 머위에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같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서 기침, 가래, 목감기 완화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어요.
- 민간에서는 머위잎을 말려 차로 마시기도 해요.
2. ✅ 소화 기능 향상
- 머위의 쌉쌀한 맛은 위액 분비를 도와 소화를 촉진해줘요.
- 특히 봄철 입맛 없을 때 머위김치나 머위나물을 먹으면 식욕이 살아나요!
3. ✅ 간 해독 & 피로 회복
- 머위에 포함된 베타카로틴, 클로로필은 간 기능을 돕고 체내 독소 배출을 도와 피로 회복과 해독 작용에도 도움을 줍니다.
4. ✅ 혈액순환 & 면역력 강화
- 칼륨과 식이섬유도 풍부해서 나트륨 배출 → 혈압 조절, 체내 면역력 향상에도 좋은 봄철 건강나물이에요.
☘️ 먹을 때 주의할 점
- 머위는 특유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있어 너무 많이 섭취하거나 생으로 먹는 건 피하는 게 좋아요.
- 살짝 데치거나 절여서 조리하는 방식이 가장 안전하고 맛있게 즐기는 방법입니다!
🌿 머위의 주요 산지
지역 특징
| 경상북도 봉화, 영양, 청송 |
– 산나물의 명산지로 유명한 지역
– 자연산 머위가 풍부하게 자라고, 향이 진하고 조직이 연함
| 강원도 인제, 양구, 평창, 정선 |
– 고지대에서 자란 머위는 식감이 부드럽고 향이 좋음
– 봄철 산나물 축제에서도 머위 자주 등장
| 전라남도 구례, 곡성, 장흥 |
– 따뜻한 기후와 청정 환경 덕분에 머위 재배도 활발
– 텃밭이나 들머위로 재배·채취되는 경우 많음
| 제주도 |
– 제주 돌담 주변이나 밭 가장자리에서 자생하는 머위
– 제주 향토 음식 중에도 머위를 활용한 반찬 존재
💡 참고 팁
- 머위는 야생에서도 자라는 다년생 식물이라, 산나물 채취 시기에는 전국에서 볼 수 있어요.
- 요즘은 하우스 재배도 진행돼 봄철 외에도 일부 시장에서는 구매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 자료
유투브 채널 _ 엄마의집밥 : 머위김치 담는법, 진작 이렇게 먹을걸! 절대 실패하지 않는 머위 김치 레시피
🛒 머위김치 재료 준비 (4~5인 기준)
재료 분량
- 머위 2근 (800g), 당근 1/3개 (50g), 쪽파 1/3줌 (50g), 청양고추 3개, 홍고추 1개
양념
- 다시마육수 300ml, 고춧가루 8스푼 (56g), 진간장 13스푼 (130g, 샘표 양조간장501), 멸치액젓 3스푼 (30g), 매실액 4스푼 (40g), 조청 3스푼 (40g, 청정원 조청쌀엿), 다진마늘 2스푼 (32g), 다진생강 1/2스푼 (6g), 통깨 3스푼 (19g)
- 다시마육수 : 물 500~600ml, 다시마 2조각 (2~3g)
🌱 양념은 취향에 따라 덜거나 더해도 괜찮아요. 새우젓, 멸치젓 등을 활용하면 더 깊은 맛을 낼 수 있어요.
🧼 Step 1. 머위 손질하기
- 머위는 줄기와 잎을 구분해 잘라줍니다.
- 줄기의 껍질을 벗겨내듯 칼끝으로 긁어 얇은 섬유질을 제거해요.
- 찬물에 한두 번 헹궈 흙과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 머위의 쓴맛이 부담스럽다면 데치기 전에 한 번 더 찬물에 담가두면 좋아요.
🧂 Step 2. 머위 데치고 절이기
- 끓는 물에 소금 한 줌을 넣고, 머위 줄기를 1분 이내(영상은 40초 데침) 정도 살짝 데쳐요. (너무 오래 데치면 흐물해질 수 있어요!)
- 찬물에 바로 헹궈 식힌 후 물기를 꾹 짜주세요.
- 굵은 소금 2큰술로 가볍게 절여 20~30분간 둡니다. (숨이 죽으면 양념이 더 잘 배어요.)
🍲 Step 3. 양념 만들기
- 찹쌀풀이나 밥을 물에 풀어 미리 식혀 둡니다. (생략 가능)
- 고춧가루, 마늘, 생강, 액젓, 매실청, 풀기 또는 밥을 넣고 잘 섞어요.
- 물은 조금씩 넣어가며 되직한 농도로 맞춰주세요.
🥬 Step 4. 머위에 양념 무치기
- 절인 머위는 물기를 살짝 짜고, 길이에 따라 반으로 자릅니다.
- 손으로 하나씩 양념을 묻혀가며 머위에 부드럽게 버무려 주세요.
- 쪽파와 송송 썬 홍고추를 같이 넣으면 색감도 예쁘고 맛도 더 풍부해져요.
🫙 Step 5. 보관과 숙성
- 버무린 머위김치는 김치통이나 유리용기에 담아 하루 정도 상온에 두었다가 냉장보관하면 좋아요.
- 2~3일 후부터 먹기 시작하면 가장 맛있고, 일주일 정도 지나면 쿰쿰한 숙성맛도 느껴집니다.
- 🧊 냉장보관 기준으로 2주 정도까지는 맛있게 먹을 수 있어요!
🍚 머위김치, 이렇게 먹어보세요!
- 따뜻한 흰쌀밥 위에 얹어서 한 입! 봄 입맛에 딱이에요.
- 고기 구이와 함께 곁들여도 최고! 기름진 맛을 깔끔하게 잡아줘요.
- 살짝 묵은 머위김치는 김치전이나 볶음밥 재료로도 활용 가능해요.
📝 정리 한 줄 레시피
- 머위 손질 후 살짝 데치고 소금에 절이기
- 양념 만들어 머위에 고루 무치기
- 하루 상온 숙성 후 냉장보관 → 2~3일 뒤부터 맛있게!
☘️ 마무리 한마디
머위는 향도 깊고 식감도 독특해서, 봄철에 꼭 한 번쯤 담가봐야 할 김치 중 하나예요.
쓴맛은 줄이고 향긋함은 살리는 이 레시피로, 여러분의 식탁에도 봄 향기 한 그릇 담아보세요 💚
영상 출처
- 유투브 - 엄마의집밥 채널
다양한 계절김치 레시피
약초급 건강 반찬, 방풍나물무침 만들기 | 봄철 입맛 살리는 제철 레시피
봄철에만 만날 수 있는 귀한 봄나물, 방풍나물!쌉쌀한 향과 특유의 아삭함이 매력적인 방풍나물무침을 간단하게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제철 정보와 건강 효능까지 함께 알아보세요.목차방
kimchipig.tistory.com
봄동물김치 담그는 법 - 비타민 무기질이 항산화작용, 봄날 나른함을 날려준다.
김치사랑 김치피그입니다. 오늘은 봄의 전령사라 불리는 봄동으로 시원하고 개운한 봄동물김치를 담그는 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봄동 김치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항산화 작용을
kimchipig.tistory.com
'김치연구소 > 김치 레시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여름 입맛 살리는 열무김치 담그는 법 – 열무의 계절, 제대로 담가볼까요? (1) | 2025.03.29 |
---|---|
초여름에 딱 좋은 제철 김치 5가지 - 오이소박이, 열무김치, 부추김치, 깻잎김치, 풋고추김치 (0) | 2025.03.29 |
여름철 대표 김치 "오이소박이" 제철 오이로 담그기 - 황금레시피 따라 배우기 (0) | 2025.03.09 |
🥘 묵은지 볶음김치, 왜 이렇게 맛있을까? 볶음김치의 매력 & 맛있게 즐기는 법 (1) | 2025.02.24 |
봄철 입맛 살리는 제철 김치 3가지! 봄동겉절이·달래김치·유채김치 레시피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