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청년도약계좌, 무직이면 어떻게 될까? 해지될까 유지될까 총정리

by kimchi_pig - 김치피그 2025. 4. 15.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무직이면 어떻게 될까? 해지될까 유지될까 총정리

 

올해 초, 기대감에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아르바이트를 그만두고 무직 상태가 되셨나요?

 

“계좌는 그대로 유지해도 되는지, 정부 지원은 계속 받을 수 있는 건지…”
걱정되시는 분들을 위해 청년도약계좌 무직 시 영향과 유지 조건을 정리해봤습니다.


지금부터 한눈에 알아보세요!


목차

  1. 청년도약계좌 기본 조건 복습
  2. 가입 후 무직이 되어도 계좌 유지 가능할까?
  3. 무직이면 정부지원금은 어떻게 될까?
  4. 소득 재확인 시기와 기준
  5. 무직자에게 추천하는 전략
  6. 마무리 정리

1. 청년도약계좌 기본 조건 복습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의 청년을 대상으로
월 최대 70만원까지 납입하고 정부기여금을 추가로 받는 장기 적금상품입니다.


가입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근로·사업 소득이 있는 청년
  • 개인 소득: 연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 가입 시점에만 이 조건을 충족하면 개설이 가능합니다.


2. 가입 후 무직이 되어도 계좌 유지 가능할까?

네, 계좌는 유지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당시 조건만 충족하면 이후 소득이 일시적으로 없더라도 해지되지 않습니다.

다만, 중요한 포인트는 이겁니다.

정부기여금(국가지원금)은 소득에 따라 달라진다.


즉, 계좌 자체는 유지되지만, 지원금 수령 자격에는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3. 무직이면 정부지원금은 어떻게 될까?

청년도약계좌의 핵심은 정부기여금입니다.
기여금은 가입자의 소득 분위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데,
무직이 되면 자동으로 기여금이 줄거나 0원이 될 수 있습니다.

 

  • 가입 후 매년 소득을 국세청 자료로 확인해서,
  • 해당 연도의 지원금 지급 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즉, 당장 해지되진 않지만 정부지원금은 중단될 수 있다는 것, 꼭 기억해두세요.


4. 소득 재확인 시기와 기준

기여금 산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내용
기준 시기 매년 국세청 정기 자료 기준
기준 소득 직전년도 귀속 소득
예외 상황 퇴사·무직 상태라도 이전 소득이 있다면 인정 가능

 

예를 들어, 2025년에는 2024년 소득 기준으로 정부기여금이 결정되기 때문에
2024년에 일한 기록이 있다면, 2025년 지원금은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5. 무직자에게 추천하는 전략

계속 납입하세요.

지원금이 일시 정지되어도, 계좌 자체 유지가 중요합니다. 이후 다시 근로하면 지원도 복원될 수 있어요.

 

소득 발생 시 지체 없이 신고

국세청 귀속 자료에 자동 반영되지만, 필요하다면 소득 증빙 자료를 금융기관에 제출하세요.

 

매년 6월 이후 소득 확인 시점 주의

지원금 지급 여부가 결정되는 시기이니, 이때 소득 상태 확인은 필수입니다.

 

불안하다면 은행 방문 상담

은행 창구나 앱에서 지원금 지급내역과 소득 조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마무리 정리

상황 계좌 유지 정부기여금 지급
가입 당시 근로자 → 현재 무직 유지 가능 최근 소득 기준 따라 중단될 수 있음
다시 취업 시 유지 다음 연도부터 재지급 가능

퇴사, 휴직, 이직 같은 인생의 흐름은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역시 그 변화 속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니
급하게 해지하지 마시고, 전략적으로 유지해보세요.


반응형